본문 바로가기

Study 2/논리학18

여섯. 연역추리의 비형식적 오류 앞에서 우리들은 연역추리에 있어서의 형식적 오류들이 무엇이고 그 예로 어떤 것들은 들 수 있는지 대강 살펴보았습니다. 그러나 추리의 일정한 형식이나 규칙을 위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말을 정확하지 않게 사용했을 때 그리고 전제와 결론 사이에 하등의 논리적 관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심리적인 연관을 핑계삼아 추리할 때 비형식적 오류를 범합니다. 우선 언어에 의한 오류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자료에 의한 오류를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가. 언어에 의한 오류: 말이나 글은 쓰는 사람과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서 애매할 수도 있고, 또, 다양한 뜻이 있을 경우 정확히 구분되지 않아서 오류가 생기기도 합니다. 여기에서는 언어에 의해서 생기는 오류의 종류를 크게 여섯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1. 여러 가지 듯을 가.. 2020. 8. 1.
다섯. 연역추리의 형식적 오류 앞에서 건전한 논리적 추론에 있어서는 결론이 참이면 추론도 참이고 따라서 타당하다고 말하였습니다. 이것은 논리적 추리가 규칙이나 형식을 제대로 지키면 건전한 추리가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연역추리의 형식적 오류에 관해서는 이 논리 시리즈의 첫째 권에 나오는 '연역추리는 어떤 것일까?'의 부분에서 낱낱이 다루었습니다. 이곳에서는 바로 다음에 취급할 비형식적 오류와 단지 비교하는 입장에서 형식적 오류가 어떤 것인지 정리하는 정도로 그치기로 하겠습니다. *부당하게 위치를 바꿀 때 생기는 오류:"모든 인간은 모든 이성적 존재이다."라는 명제의 위치를 바꾸어서 "모든 이성적 존재는 모든 인간이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인간은 동물이다."라는 명제의 위치를 바꾸어 "모든 동물은 인간이다."라고 하.. 2020. 8. 1.
넷. 사람은 누구나 오류를 범한다. 1. 오류란 무엇인가? 우리들은 앞에서 부당한 추론과 타당한 추론의 예들을 살펴보았고, 왜 추론의 타당성과 부당성이 발생하는 지도 알아보았습니다. 부당한 추론은 오류를 범합니다. 오류란 간단히 말해서 잘못된 생각입니다. 잘못된 생각은 옳지 못한 논리적 과정을 포함합니다. 만일 우리가 부당한 추론에서 올바르지 못한 논리적 과정을 찾아내지 못한다면 우리는 미심쩍어 하면서도 그것을 그대로 믿고 따르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사고의 혼란에 휩싸이게 되고 행동의 기준을 상실하게 됩니다. 다음의 예를 살펴봅시다. 봉이 김선달이 먼 여행길을 떠났습니다. 여행길에 지치면 낯선 주막에 들러 술타령도 하고 바쁜 길이 아니니 하루밤 잠도 청하였습니다. 물론 주막집 여인네에게 꾀보자기를 풀어놓아 주모를 한껏 즐겁게 해놓.. 2020. 8. 1.
셋. 올바르게 정의내리기 일반적으로 논리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를 일컬어 개념과 판단의 추리라고 합니다. "금년의 대학 입시문제는 너무 어려웠기 때문에 비록 내가 어느 정도 열심히 준비했다고 할지라도 나는 불합격할 것이 분명하다"라는 추론형식을 보더라도 이 긴 명제는 다음의 세 가지 판단으로 분해됩니다. "나는 금년 대학입시를 위하여 열심히 준비하였다. 그러나 나는 분명히 불합격 할 것이다. 왜냐하면 금년의 대입문제는 너무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첫 번째 판단을 다시 분해하면 그것은 "나", "금년", "대학입시", "불합격하다"등의 개념들이 남습니다. 이 개념들이 추론에서 얼마만큼 적절하고 분명하게 사용되었는가에 따라서 논리적으로 타당한 판단 그리고 타당한 추론의 성립여부가 결정됩니다. 이상의 사실로 미루어 보.. 2020. 8. 1.
둘. 왜 논리가 필요한가 1. 논리적 생각 우리는 주변에서 흔히들 다음처럼 이야기하는 것을 듣곤 합니다. "너는 왜 매사에 덜렁거리고 일 처리를 엉망진창으로 하느냐?" "우리 사회는 가정이나 학교나 직장이나 모두 질서가 없단 말이야. 사회에 정의가 실현되려면 무엇보다도 질서의식이 싹터야만 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 나라 사람들은 각자가 이기주의에 젖어 자기 멋대로 생각하고 행동하기 때문에 어디에서든 질서나 체계를 찾아보기 힘들단 말이야." 이러한 대화들이 암시하는 사실은 무엇일까요? 이 대화들을 마주 대할 때 우리들은 일상생화에서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데 있어서 다분히 질서나 체계를 염두에 두지 않고 즉흥적으로 살아가는 자세에 익숙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말들은 우리들이 얼마나 즉흥적인지 잘 알게 해줍니.. 2020. 8. 1.
하나.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1. 생각하는 방법 사람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정의한 말들이 많이 있습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인간은 말할 줄 아는 존재이다." "인간은 의심하는 존재이다." "인간은 이성적 존재이다." "인간은 웃을 줄 아는 동물이다." "인간은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이다." 이들 여러 가지 정의들 가운데서 가장 사람의 특징을 잘 들러낸 것은 역시 "인간은 이성적 존재이다"라는 정의일 것입니다. 사람은 생각합니다. 사람은 자기 자신을 생각하고 남도 생각하며 나아가서 나와 남 전체까지도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생각이 지극히 유치하거나 또는 생각이 매우 모자라는 사람을 일컬어 "사람 같지 않은 사람"이니 "골이 텅 빈 인간"이라고 부릅니다. 확실히 사람이라면 누구나 생각하기 마련입니다. 그렇지만 아무렇게나 생.. 2020. 8. 1.
제12장 오류 추론 I. 애매성의 오류 중심 개념들 형식적 오류 1) 전건 부정의 오류; 2) 후건 긍정의 오류; 3) 선언지 긍정의 오류 비형식적 오류 - 애매성의 오류 4) 애매어의 오류; 5) 은밀한 재정의의 오류; 6) 애매귀의 오류; 7) 강조의 오류; 8) 사용-언급 혼동의 오류; 9) 범주의 오류; 10) 합성의 오류; 11) 분할의 오류 첫째 문제: 오류 추론의 종류 - 형식적 오류 추론, 비형식적 오류 추론[애매성의 오류, 적합성의 오류] 생각하여 봅시다. 생각 1. 다음 논변을 평가하시오: 만일 철수가 영희와 친구라면, 철수는 영수의 친구가 아니다. 왜냐하면 영수는 영희와 친구인 사람은 친구로 삼지 않으니까. 그런데 영수는 철수와 친구 사이가 아니다. 그러므로, 철수와 영희는 친구 사이다. 생각 2. 다음.. 2020. 5. 11.
제11장 논증의 언어에 대한 주의 기울이기 : 정의 I. 애매성과 모호성 1. 애매성 2. 모호성 II. 정의 1. 직시적 정의 2. 언어를 통한 외연적 정의 3. 내포적 정의 i. 단어가 어떻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가를 보여주는 정의 ii. 언어에 새로운 단어를 도입하는 정의 iii. 모호성을 감소시키는 정의 iv. 이론적 목적을 위한 정의 v. 감정의 힘을 전이시키기 위한 정의 4. 문맥적 정의 5. 조작적 정의 III. 복습 I. 애매성과 모호성(Ambiguity and Vagueness) 연역 혹은 귀납 논증의 올바름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논증들이 사용되는 언어에 대해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어떤 논증의 결론이 그 논증의 전제들로부터 따라나오는지를 결정할 수 있기 전에, 우리는 그 전제 문장들과 결론 문장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알아야만 한.. 2020. 5. 11.
제10장 타당성이 관계에 의존하는 논증들 I. 머리말 II. 관계적 논증의 예들 III. 관계의 중요한 속성들 IV. 양화사에 의한 관계의 표현 1. 보편양화사의 기호화 2. 존재양화사의 기호화 3. 관계적 문장의 기호화 4. 복수 양화사(Multiple Quantifiers) 5. 모든의 오류(The Fallacy of Every and All) V. 논증의 기호화 VI. 복습 I. 머리말 앞장에서 우리는 논증의 두 가지 중요한 유형을 분석했다: 진리함수적 논증과 정언적 삼단논증. 이 각각의 논증유형에서 타당성은 형식의 문제임이 보여졌었다. 진리함수적 논증의 타당성은 논증을 이루는 문장들간의 논리적 연관성에 의존하는 반면, 정언적 삼단논법의 타당성은 문장들 안에 있는 주어개념(subjective term)과 술어개념(predicate term.. 2020. 5. 11.
제9장 정언 삼단논법 Ⅰ. 서론 Ⅱ. 정언문장 1. 대당사각형(The Square of Opposition) 2. 현대의 대당사각형 Ⅲ. 표준 정언형식으로서의 일상 언어 문장 번역 1. A문장 2. E문장 3. I문장 4. O문장 Ⅳ. 벤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타당성 검토 Ⅴ. 개념들의 주연(Distribution of terms) Ⅵ. 삼단논증의 타당성 검토 규칙 1. 타당한 삼단논증이 되기 위한 세 가지 규칙 2.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규칙들의 사용 예 Ⅶ. 삼단논증 안에서 개념들의 수 줄이기 Ⅷ. 일상어논증을 삼단논증으로 재구성하기 Ⅸ. 준삼단논법과 연환식(Quasi-Syllogism and Sorites) Ⅹ. 요약 및 정리 Ⅰ. 서론 연역적 타당성에 관한 앞장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명백히 타당한 논증들의 예를 보았.. 2020. 5. 11.
제8장 타당성이 문장 연결사에 의존하는 논증들 Ⅰ. 서론 1. 가언 삼단논법 2. 딜레마 3. 거짓 딜레마 4. 선언 삼단논법 Ⅱ. 연결사를 기호화하기 Ⅲ. 일상어 문장을 기호화하기 Ⅳ. 복합 문장의 진리값을 결정하기 Ⅴ. 논증 형식의 타당성 또는 부당성을 결정하기 Ⅵ. 동어반복, 자기모순, 그리고 우연적 문장 Ⅶ. 논리와 컴퓨터: 진리함수적 논리의 적용 1. 수의 표상 ⅰ. 십진법 체계 ⅱ. 이진법 체계 2. 이진법 덧셈 3. 덧셈기(Adder)의 구성 4. 선언적 표준 형식(Disjunctive Normal Forms) Ⅷ. 복습 (REVIEW) Ⅰ. 서론 이 장에서는 6장에서 시작된, 타당성이 문장들 사이의 진리함수적 연결사에 의존하는 연역적 논증의 분석을 계속할 것이다. 우리는 이미 전건긍정법(modus ponens)과 후건부정법(modus .. 2020. 5. 11.
제7장 가설과 확증 I. 가설 II. 증거 III. 가설-연역적 방법 IV. 가설-연역적 방법의 복잡성 1) 부수적 가설 2) 대안적 가설 3) 귀납적 확증논변의 형식 4) 인과적 가설의 확증 V. 반확증 VI. 베이즈의 확증이론 VII. 요약 I. 가설 이 장에서 다루어질 주제는 가설(hypothesis)과 그 가설을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문제이다. 많은 경우 우리는 주어진 경험적 증거를 넘어 지식을 확장시키고자 한다. 경험적 증거에 의하여 확인되는 것에만 우리의 지식을 국한시켜야 한다면 이 세계에 관하여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별로 없을 것이다. 우리는 현재의 경험에 의하여 확인되지 않을지라도 과거 또는 미래에 관하여 추측을 하거나 예측을 하기도 한다. 추측과 예측을 할 수 있기에 인간의 경험은 그만큼 더 .. 2020. 5. 11.
제6장 연역 추리 : 조건적 논증 I. 연역 논증의 속성 : 타당성과 논리 형식의 중요성 II. 조건문 1. 조건문의 구조 2. 조건문의 진리 III. 조건적 논증 1. 전건긍정 2. 후건부정법 3. 조건적 논증에서 진술되지 않은 전제들 IV. 조건적 논증에 얽힌 오류들 1. 오류 논증 형식들 2. 오류 논증들 V. 복습 I. 연역 논증의 속성 : 타당성과 논리 형식의 중요성 올바른 연역 논증의 특징은 진리를 보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연역 논증은 전제들이 모두 참이면 결론 또한 참이어야 한다. 어떤 논증이 진리 보존적일 때 우리는 그것을 타당한 연역 논증이라고 부른다. 엄밀히 말해, 우리가 연역 논증을 진리 보존적인 논증이라 정의하면 모든 연역 논증은 타당한 논증이 될 것이다. 그러나 어떤 논리학자들은 연역 논증을 두 가지로, 즉 .. 2020. 5. 11.
제5장 확률과 귀납논리 I. 확률논리 II. 결정이론 1) 위험하의 결정 2) 확실성하의 결정 3) 불확실성하의 결정 4) 죄수의 딜레마 I. 확률논리 확률에 관한 기초 논리는 이미 17세기 초 빠스칼(Pascal)과 페르마(Fermat)에 의하여 마련되었다. 그 후 확률논리는 발전을 거듭하면서 거의 모든 과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적인 방법론의 하나로 정착하게 되었다. 그것은 또 과학의 영역뿐만 아니라 여러 현실적인 문제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20세기에 와서는 확률논리의 공리적(axiomatic) 체계화가 시도되었고 그럼으로써 순수수학의 추상적 형식체계의 하나로 간주되었다. 형식체계란 공리(axiom)들과 그것들로부터 형식적으로 연역되는 정리(theorem)들로만 구성된 체계를 말한다. 공리는 정리와는 다르게 연역.. 2020. 5. 11.
제4장 인과 논변 I. 인과논변의 성격 II. 원인의 의미 III. 흄의 인과분석 IV. 인과적 오류 1) 우연과 원인의 혼돈 2) 공통원인의 무시 3) 원인과 결과의 혼돈 4) 발생적 오류 V. 원인의 발견 - 밀의 방법 1) 일치법 2) 차이법 3) 결합법 4) 공변법 I. 인과논변의 성격 인과 또는 인과관계에 관한 진술이나 주장은 과학에서 거의 필수적이다. 과학적 탐구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인과적 진술이나 주장(causal statement or causal claim)은 매우 흔하게 일어난다. 자주 사용되는 말로 '......때문에'라든지 '......로 인하여' 등은 대개 인과적 주장을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말들이다. 예컨대 자동차가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 약속한 사람이 약속 시간에 나타나지 않을 때, 공연.. 2020.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