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중석기 유물///
: 잔석기, 활
02. 신석기///
+ 가락바퀴, 뼈바늘 - 방적 기술 발달 (원시적 수공업)
+ 간석기
03. 청동기///
- 거석문화 등장 (고인돌, 돌무지 무덤, 돌널무덤, 선돌)
* 무기, 제기, 장신구는 청동제품, 청동제 농기구 사용하지 않음
* 철기시대 : 널무덤(고조선), 독무덤(삼한)
* 삼국시대 : 벽돌무덤, 굴식 돌방무덤
04. 반달돌칼///
: 벼농사
05. 철기시대의 영향///
① 철제 농기구 등장 → 농업의 발전
② 잉여 생산물 교역 → 문화의 융합 촉진
③ 청동기의 의기류화
④ 씨족 공동체 → 친족 공동체
⑤ 고대 국가 성립 기반
06. 고조선 영역과 관계된 유물///
: 비파형 동검, 민무늬 토기
07. 8조 법금(관습법)///
: 한서 지리지
① 살인자 → 사형 : 인간 생명 존중 사상
② 상해자 → 곡물배상 : 농경 사회, 사유재산 인정
③ 절도자 → 노비화 : 노비제도, 계급 사회
속죄시 50만전 지불 : 화폐제도
④ 투기자, 간음자 → 사형 : 일부다처제(가부장적 사회)
08. 고구려의 경제와 사회///
: 약탈경제(부경 : 창고), 데릴사위제,
제천행사(동맹), 우제점복, 1책12법
09. 부여와 고구려의 공통점///
① 5부족 연맹체 ② 제천행사 ③ 1책12법 ④ 우제점복
10. 동예///
: 씨족 사회의 유풍 - 족외혼, 책화(폐쇄사회, 사유재산보호책)
11. 삼한///
: 소도 - 제사장 통치, 제정분리
12. 가야///
: 일본에 문화 전파 - 스에키 토기
13. 삼국시대의 성격///
① 중앙집권화, 관료제 마련, 군대파견, 율령반포, 왕권세습, 불교공인 → 고대왕국의 성격
② 귀족 중심의 엄격한 계급사회
③ 독자적인 정치 조직 정비
④ 지방관이 행정, 군사, 사법권 장악
행정.군사 일치, 문무관의 구별없음 : 지방관의 군사적 성격이 강함
⑤ 친족의 유대 강화 : 능력에 따른 출세 보장이 안됨 (친족의 지위에 따름)
⑥ 귀족 중심의 합의제 운영
⑦ 특수 제도 실시 + 고구려 : 3경제(국내성, 평양성, 한성)
+ 백 제 : 22담로
+ 신 라 : 2소경(중원경, 동원경) → 통일 후 5소경
⑧ 향, 소, 부곡의 설치
14. 삼국의 정치 제도///
고 구 려 | 백제 |신라
* 회의형태 |제가회의|정사암회의|화백회의
|발해(정당성)
|고려(도병마사->도평의사사)
|조선(의정부,비변사)
* 수 상 |대 대 로-3년마다,비상시:대막리지
|상좌평
|상대등->통일후 시중(중시)
* 중 앙 |5부|5부|6부
* 지 방 |5부(욕살)-전시:대모달,말객파견
|5방(방령)
|5주(군주)->9주(도독)
15. 도교///
① 현세적 (내세가 없음, 은둔적, 현실 도피적) → 현세 향락적
② 고구려 : 연개소문이 불교 세력 억압책으로 도교 장려 - 사신도
③ 백 제 : 사택지적비, 무녕왕릉 지석, 산수무늬 벽돌
④ 신 라 : 화랑도 (= 국선, 풍류도)
⑤ 통일신라 : 사산비문, 12지신상
⑥ 발 해 : 정효 공주묘지(불로장생 사상)
⑦ 조 선 : 초제(소격서)
16. 민간 예술///
: 소박성
* 신라 : 토기
* 백제 : 마애삼존불상
* 고려 : 둔마리 고분벽화, 관촉사 석불
* 조선 : 백자
17. 우리 문호의 일본 전파///
① 신석기 : 죠몽문화 ② 청동기 : 야요이 문화
③ 가 야 : 스에키 문화 ④ 삼국 : 아스카 문화
⑤ 통일신라 : 하쿠호 문화 ⑥ 조선 : 에도문화
18.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① 고구려 : 담징 - 붓, 먹, 그림, 오경, 맷돌, 호류사 금당벽화
혜자 - 일본 쇼토쿠 태자의 스승
② 백 제 : 아직기, 왕인 - 한학(근초고왕), 노리사치개 - 불교(성왕)
③ 신 라 : 조선술, 축제술, 한인의 연못
19. 원효///
* 금강삼매경론, 대승기신론 : 불교를 이해하는 기준의 확립
* 십문 화쟁론 : 불교 통합 노력, 불교의 후진성 극복 → 화쟁 사상 주장
* 정토종 : 불교의 대중화(민간문화 발달), 법성종 창시
20. 자주적, 진취적, 주체적인 것들///
① 통일신라 : 김대문 ↔ 최치원, 6두품 (사대적, 보수적)
② 고려 : 진화, 이규보 ↔ 김부식, 최충
③ 조선 : 서거정, 박지원
21. 김대문///
: 자기문화 의식, 중국의 모방 문화로부터 탈피
* 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 계림잡전
22. 반신라적 경향///
① 주체 - 6두품, 지방호족, 해상세력, 유학생(당)
+ 숙위학생, 득난 : 유교사상에 입각한 개혁 시도
| (실패 원인 : 진골귀족의 반대)
+ 반신라적 경향 : 선종 9산 개창 (통일 신라 말기)
+ 학문과 종교 분야에서 활약
② 사상 : 선종, 노장사상, 풍수지리설(송악 길지설 : 신라 정부의 권위 약화)
23. 민정문서///
① 작 성 : 촌주(지방관 아님)가 3년마다
② 서원경(청주 지방)의 자료 전래 - 혈연 중심의 자연 촌락
③ 목적 : 노동력 관리, 수취 체제 강화
④ 구분 + 인구별 : 남녀별, 연령별로 6등급 (귀족, 평민, 천민, 남녀노소 모두 포함)
+ 호구별 : 인정(16 ∼60세 남녀)을 기준으로 9등급
⑤ 토지 : 촌주(촌주위답), 내시령(내시령답), 농민(연수유답, 정전), 관청(관모답)
⑥ 대상 : 인구, 토지(정전), 가축(돼지,소), 과실수(호도, 잣, 뽕), 호구 조사
24. 통일 신라 말기의 사회상///
① 내물계, 무열계의 왕위 다툼 치열 : 내물계 왕위 독점 (진골간의 다툼)
* 왕권 약화 = 시중 권한 약화 = 상대등(귀족) 권한 강화
② 진골 귀족의횡포가 극심 : 농장 확대, 자작농 몰락 → 농민의 난 발생
③ 6두품의 반신라적 경향 : 선종 9산 → 조형 예술 쇠퇴
④ 지방 호족 세력, 해상 세력 등장 (해상 무역의 발달 : 장보고)
25. 감찰 기관///
① 통일 신라 - 외사정 ② 발해 - 중정대
③ 고려 - 어사대(→ 순마소) ④ 조선 - 사헌부
26. 발해의 외교 관계///
* 신라 : 사신 왕래, 문물 교류 → 원만한 관계는 아니나 극한 무력 충돌은 없음
* 왜 : 친선 - 신라 견제가 목적
* 돌궐 : 친선 - 당 견제가 목적
27. 발해의문화 중 고구려의 영향///
* 벽돌, 기와, 온돌장치, 석등, 굴식돌방무덤(정혜공주묘, 정효공주묘)
28. 삼사///
* 고려의 삼사 : 화폐 및 곡식의 출납 회계(재정 담당)
* 조선의 삼사 :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으로 언론, 학술 기구
29. 향리의 비교///
* 고려와 조선
차이점:
임무-조세,공물징수,요역징발|지방관보좌
보수-외역전지급|X
지위-일품군지휘관|군지휘관X
공통점 : 세습,실제적 실무행정담당,중간계층
30. 대간 제도///
① 간쟁 : 왕의 언행 견제 - 중서 문하성 낭사
② 서경 : 관리 임명, 법률 개,폐정 동의권 행사
*고려의 중서문하성의 낭사 = 조선의 사간원, 고려의 어사대 = 조선의 사헌부
③ 의의
+ 왕권 견제 목적
+ 정치의 발전적 측면의 근거
+ 고려와 통일 신라의 차이점 : 대간제도, 유교 사상 정치 이념 정립
+ 정책 결정, 집행 시 착오와 부정 방지
+ 대간 제도 : 간쟁, 서경
+ 사간원, 사헌부 : 양사, 대성
31. 시무 28조///
① 시기 : 성종 때
② 주체 : 최승로, 김심언(6두품 계열)
③ 의의 : 유교 사상을 정치 이념으로 정립, 중앙 집권 체제 확립
- 고려와 신라의 차이점 : 대간제도, 서경, 간쟁
④ 내용 : 중앙 관제의 정비 (2성 6부 설치), 지방 체제의 정비 (12목 설치)
군제 개편 (2군 6위)
신분 제도 개편, 불행사 축소(연등회 팔관회 폐지), 대간 제도 실시
32. 묘청의 난///
① 서경 천도에 대한 개경 파(김부식)에 반대에 대한 반대
② 국호 : 대위국, 연호 : 천개, 군대 : 천견충의군
③ 서경 천도론, 칭제건원론, 금국 정벌론, 풍수지리 사상, 북진사상(자주사상),
고구려 계승 의식
* 개경파 : 유교 사상에 바탕, 사대주의, 신라계승 의식
④ 결과 : 김부식이 이끄는 개경파에 의해 좌절, 보수적 경향화
33. 교정도감///
* 최씨 정권의 최고 핵심 권력 기관 * 감찰 사무, 인사, 조세권 행사
34. 최우///
* 정방 - 인사 담당 행정기관, 공민왕때 폐지
* 서방 - 문신 우대기관(과거실시) : 이규보, 이인로, 최자 → 패관문학 발달
* 삼별초 - 사병적 성격
# 최씨 정권의 군사적 기반 : 도방, 삼별초
35. 사회 동요///
(목적 : 신분 해방, 정권 탈취)
① 지배층 : 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 승려의 난
② 피지배층 : 망이, 망소이의 난(최초의 민란), 김사미의 난, 효심의 난
만적의 난 (신분 해방 및 정권 탈취)
36. 무신 집권의 결과///
① 왕권 약화 ② 농장 학대(자작농 몰락, 민란 발생) ③ 선종 계통의 조계종 발달
④ 조형 예술의 쇠퇴 ⑤ 패관 문학의 발달 ⑥ 하극상의 풍조
37. 고려의 대외 관계///
① 이민족 침입 순서 : 거란 → 여진 → 몽고 → 홍건적 → 왜구
② 송 : 친선(광종) - 경제적 실리 도모가 목적
38. 거란의 3차 침입///
: 강감찬의 귀주대첩
① 동북 아시아 정세 안정(고려, 거란, 송의 평화 유지)
② 북진 정책의 좌절(보류)
③ 나성, 천리장성 축조(거란, 여진 방어)
④ 7대 실록 편찬, 초조 대장경 조판
39. 영토 확장 과정///
+ 통일 신라 : 대동강 ∼ 원산만 이남
+ 고려(태조) : 청천강 ∼ 영흥
+ 고려(성종) : 서희 강동 6주 획득 → 압록강 입구 도달
+ 조선(세종) : 4군 6진 개척 - 현 국경선 확정 (압록강 ∼ 두만강)
40. 왜 침입///
→ 진포 전투 : 최무선(최초로 화약사용, 화통도감 설치)
41. 공민왕의 개혁 정치///
① 왕권 강화 정책 : 정방 폐지, 전민변정도감(토지, 노비제의 개혁)
② 실패 원인 : 개혁 추진 세력의 불형성(신진 사대부)
③ 쌍성총관부 회복, 요령 점령, 요동 공략
④ 정동행성 폐지, 친원파 숙청, 관제복구
42. 고려의 토지제도///
* 영업전 : 내장전, 공신전, 군인전, 외역전(세습)
* 구분전 :군인, 하급관리 사망시 유가족에게 지급
* 한인전 :하급관리 자제 중 관리가 되지 못한 자, 과거 합격자 중 보직이 없는 자
43. 전시과와 과전법의 비교///
전시과 +고려의 기본토지제도
+품계에 따라 차등지급
+전,현직에게
+퇴직,사망시 극가에 반환
과전법 +목적:신진사대부의 경제적토대마련
+병작반수를 법적금지(결당30두,1/10세)
+전,현직에게
+경자 유전의 원칙 적용
44. 신분 제도(고려)///
① 백정 : 일반농민(=조선시대-도살업자 = 고려시대 - 화척)
② 노비 : 공노비 - 입역노비, 납공노비,
사노비 - 솔거노비, 외거노비
45. 중인///
+ 고려시대 처음 등장
+ 기술관 (역관, 화원, 외관)
+ 직업군인, 남반관리, 향리, 서리
46. 역사편찬///
* 기전체 : 삼국유사, 고려사
* 기사본말체 : 서론, 본론, 결론 형식(삼국유사, 연려실기술-조선)
47. 자주적 사관의 역사서///
① 각 훈 : 해동고승전
② 이규보 : 동명왕편 → 정통과 연관된 한문학의 발달
③ 이승휴 : 제왕운기 ─┬→ 단군 신화 수록
④ 일 연 : 삼국유사 ─┘
48. 과거제도(고려)///
* 무과 : 일반적으로 실시하지 않음(예종 때 잠시, 공민왕 때 정식 실시)
but 조선시대 실시 → 문무양반 제도 확립 근거 (조선시대 승과 미실시)
49. 고려 사회가 귀족 사회임의 근거는?///
공음전, 음서제도
50. 불교의 변천 과정///
① 제관 : 천태사교의
② 의천 : ⓐ 불교의 혁신 운동 전개, 원효의 화쟁 사상 중시
ⓑ 불교 통합 운동 전개 - 교관겸수(교종 중심의 선종 흡수 통합)
ⓒ 천태사교의주 저술, 주전론 주장 ⓓ 속장경(신편제종교장총록) 간행
③ 지눌 : ⓐ 신앙 결사 운동 전개
ⓑ 불교 통합 시도 : 정혜쌍수(선종 중심의 교종 흡수 통합)
ⓒ 불립문자, 견성오도, 돈오점수 ⓓ 선교 일치의 사상 체계 확립
51. 관학 진흥책(고려)///
┌ 숙 종 : 서적포
├ 예 종 : 7재, 양현고
├ 인 종 : 향학
└ 충렬왕 : 섬학전
52. 예술 분야///
*상정고금예문 :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본
* 직지심경 :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본
52.---◎조선시대◎---
53. 고려말에 나타난 현상들///
① 성리학 수입 + 고려말의 모순, 불교의 폐단을 비판
+ 유교 의식 보급에 노력 (주문 공가례, 가묘)
② 신진 사대부의 성장과 권문세족과의 대립
③ 역사 + 삼국유사, 제왕운기와 같이 단군 신호를 기록한 자주적 역사서 등장
+ 이제현 중심의 대의명분, 정통의식을 중시하는 성리학적 역사관 등장(사략)
④ 문학 : 이규보의 동명왕편과 같은 정통의식을 중시하는 성리학적 역사관 등장
⑤ 종교 : 선종 계통의 조계종 발달과 조형 예술의 쇠퇴
⑥ 토지제도 : 과전법의 실시로 신진 사대부의 경제적 토대 마련
⑦ 인쇄술 : 상정고금예문, 직지심경
⑧ 화약 발명, 목화 재배, 목조 건축물 건립, 천산대렵도(공민왕), 양류관음도(혜허)
♧ 조선 시대 정치의 특성 (= 고려와의 차이점)
* 법전(경국대전)에 의한 법치국가로의 발전
* 왕권이 한층 강화
* 언론, 감찰관의 기능 강화
* 언론, 학술 정치 발달 = 삼사(언론, 학술기구 - 고려시대 : 재정담당)
* 6조의 정책 결정 참여
* 무과 실시 → 문무양반 제도 확립
* 중앙 집권의 한층 강화
* 모든 군현에 수령 파견
* 향리의권한, 지위 약화
* 천민 집단(향,소,부곡)의 소멸
* 상피 제도, 임기 제도 엄격 적용
* 별사전 : 준공신에게 지급 (고려 = 승려에게 지급)
* 외역전, 구분전, 군인전, 한인전, 공음전이 없다
* 조세, 공물 징수, 요역 징발 의무 : 고려시대 = 향리, 조선시대 = 수령
* 왕권 강화 기구 : 승정원, 의금부
* 언론 감찰 기관 : 사헌부, 사간원(양사)
* 삼사 : 홍문관, 사헌부, 사간원
* 삼법사 : 형조, 사헌부, 한성부
* 유향소(향청) - 사림의 지위 강화
* 경재소 - 지방 자치제 허용, 중앙 집권의 추구
54. 왕권 강화책///
+ 승정원, 의금부(6조 직계제) - 태종, 세조
+ 직전법, 관수 관급제, 비변사 기능 축소
+ 재상의 서사제 폐지
cf) 고려시대 - ① 과거제도, 노비안검법, 기인제도
② 사심관 제도 - 지방 세력 견제책
③ 정방 폐지, 전민변정도감 설치
55. 왕권 견제책///
① 의정부, 간쟁, 서경 (대간제도)
② 삼 사 : 경연, 서연, 서경제도
③ 상 소 : 사림 양반층이 크게 이용, 구언, 권당
56. 16세기 사림 집권기///
① 농장 확대 - 자작농 몰락 - 국가 재정 수입 감소
☆ 백성의 고통 : 공납 (16C) → 군역(17∼18C) → 환곡(19C)
② 공납이 백성에게 가장 큰 부담
③ 환곡 : 상평창에서 대신 함 → 고리대로 변질
④ 향약, 서원의 발달
⑤ 보학, 예학의 발달 → 문벌 권위 과시 → 예학의 학문 정립 : 김장생의 가례집람
⑥ 주기, 주리 철학의 발달 (성리철학의 발달)
⑦ 역사 : 기자 중시(중국중심의 화이관) → 국제 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함
⑧ 사장 경시, 경학 중시, 도덕, 의리 중시
⑨ 성리학 이외의 타 학문, 종교에 배타적
⑩ 여론에 입각한 왕도 정치, 향촌 자치 주장
⑪ 군역 : 대립제 → 방군수포제 : 군인의 질적 저하 현상, 군사 제도의 붕괴
⑫ 그림 : 사군자, 인물화, 자연 속 서정미, 개성미 추구
57. 임진왜란///
① 이순신 장군의 활약
+ 옥포 전투 : 최초의 승리
+ 사천 전투 : 거북선을 최초 사용, 일본의 수륙 병진 작전 좌절
+ 한산도 대첩 : 전라도 곡창 지대 수호
+ 명량 해전 : 정유재란의 발발
+ 노량 해전 : 전사
② 3대 대첩 : 한산도 대첩, 진주성 혈전, 행주대첩
* 역사상의 3대 대첩 : 살수대첩, 귀주대첩, 한산도 대첩
③ 군사력 : 관군 정부군의 차원 - 조선 < 일본
전국민적 차원 - 조선 > 일본
④ + 의병장 : 전직 관리, 유학자, 승려→ 한말 : 평민 의병장 출현
+ 주축 : 농민
+ 전투 방법 : 유격 전술
+ 관군, 정부 관계 : 지원없이 자발적으로 조직, 활동
58. 광해군의 개혁 정치///
* 북벌 계획 : 요동 정벌 → 태조, 정도전,
① 인조 : 임경업
② 효종 : 어영청 - 송시열, 송준길, 이완
# 실패 원인 - 나약한 국력 외면, 무모한 정책, 효종의 사망, 청의 국력 강성
③ 숙종 : 윤휴
59. 관학파와 사학파 비교///
관학파->훈구파
* 조선 개창에 참여(고급관료, 경제적 부 소유)
* 부국강병추구 → 기술학 중시
* 중앙집권화 추구
* 패도 정치 인정
* 편찬사업 중시 → 사장 중시
* 타학문, 종교에 관대
* 정도전, 권근
사학파->사림파
* 온건파 신진 사대부
* 기술학 경시
* 향촌 자치제 주장
* 여론에 의한 왕도 정치 주장
* 경학 중시
* 타학문, 종교에 배타적
* 정몽주, 길재의 학풍 계승
60. 역사///
① 성리학적 역사서 : 고려국사, 동국사략
② 자주적 역사서 : 고려사, 동국통감, 삼국사 절요
③ 실록
+ 시기 : 왕의 사후
+ 방법 : 편년체
+ 대상 : 태조 ∼ 철종
+ 참고 자료 : 사초 - 승정원일기, 의부, 비변사등록, 시정기, 일성록 (비공개 원칙)
+ 보관 : 4대사고 - 춘추관, 전주, 성주, 충주
임란 이후 광해군 때 5대 사고
61. 대동법///
① 배경 : 방납의 폐단 시정, 국가 재정 수입 증가, 농민 부담 감소
② 주창자 : 16C 초 조광조, 이이, 유성룡은 수미법 주장
③ 과정 + 경기도 : 이원익, 한백겸
+ 강원도 : 조익
+ 충청도, 전라도 : 김육
④ 상공, 별공, 진상 중 상공만 실시
⑤ 내용 : 1결당 12두 - 선혜청에서 담당 : 토지 기준, 현금 납부
⑥ 국가 수요품 조달 : 공인의 등장
⑦ 결과 + 지주 부담 증가, 농민 부담 감소, 국가 재정 수입 증가
+ 별공, 진상을 그대로 징수 (현물 징수가 사리진 것은 아님)
+ 공납의 전세화 현상, 화폐 유통 활발
+ 공인의 등장 + 상인 활동 활발 : 선대제 수공업으로 상인의 수공업자 지배
+ 상업 도시 발달
62. 역사학///
① 15세기 : 초기 - 성리학적 역사관 : <고려국사><동국사략>
세종 후 - 자주적 역사관 : <고려사><삼국사절요><동국통감>
* 동국통감 : 단군을 정통왕조로 인정, 고려말 까지의 완벽한 통사
② 16C∼17C : 사림의 등장 - 단군보다 기자 중시, 동국통감 비판
중국중심의 역사관 : <기자실기><표제음주동국사략><동사찬요>
③ 18C + 안정복 <동사강목> : 삼한 정통론, 고증 사학의 토대 마련
+ 이종휘 <동사> : 고구려사, 유득공 <발해고> : 발해사
④ 19C : 한치윤 <해동역사> - 500여종의 외국자료를 인용, 국사 인식의 폭 확대
이긍익 <연려실기술> - 기사본말체, 실증적, 객관적 사관에 입각
63. 문학///
+ 15세기 : 자주적, 주체적 - 서거정 <동문선>
+ 16세기 : 사림 - 경학 중시, 사장 무시 : 문학 쇠퇴 - 정치적 불우 계층, 부녀자 활동
+ 17세기 : 사회 비판, 애국작품 (정묘, 병자 호란의 영향)
+ 18세기 : 문학의 주체, 형식, 내용의 다변화
| 박지원 - 양반들의 위선을 풍자, 비판
| 사설시조- 서민들의 애환, 애정을 솔직하게 묘사
+ 19세기 + 서민 문학의 전성기, 김삿갓의 등장
+ 시사결성 : 중인이나 서민의 문학 동우회
+ 판소리, 가면극 : 종합 예술
64. 농업///
① 신석기 후기 : 농경의 시작 (조, 피, 수수)
② 청동기 : 보리, 콩, 벼 (반달돌칼)
③ 삼한 : 수전 경작, 가축의 힘을 밭갈이에 이용
④ 신라 : 우경 실시(지증왕), 차 재배
⑤ 고려 + 우경에 의한 심경법, 2년 3작의 윤작법, 목화 재배
+ 이 암의 <농상집요>
⑥ 조선 초기 : 시비법의 발달로 휴경지가 없어짐, 이아업, 이모작 시작, 원예, 과수
서적 : 농사직설, 사시찬요, 금양잡록
⑦ 조선 후기 : 이앙법, 이모작의 전국적 실시
노동력 절감, 생산량 증가
광작의 등장 : 농촌의 계급 분화 현상
+ 타조법 : 정률제(수확량의 1/2), 지주 간섭
+ 도조법 : 정액제(일반적으로 1/3)
* 농촌 분화 현상에 영향을 준 사항 : 이앙법, 견종법, 이모작, 이앙법, 도조법
+ 구황작물 : 고구마, 감자
+ 상품작물 : 담배, 인삼, 고추
+ 신속 <농가집성> : 성리학적 농법 +
| 홍만선 <산림경제>, 박세당<색경> + 우리의 독창적 경험을 기반
+ 서유구<임원경제지>, 박지원<과농소초> + 으로 저술
65. 수공업///
+ 관영 수공업의 쇠퇴
+ 민영 수공업의 발달 - 포장 증가
* 수공업자 계층 분화 : 선대제 수공업, 독립 수공업 발달, 가내 수공업 발달
66. 상업///
+ 상업 발달의 원인 ① 대동법 : 지대의 금납화, 공인의 등장, 조세의 전세화
| ② 시전상인의 금난전권 철폐 (정조 : 신해통공)
+ 상인의 계층 분화 : 도고(독점적 도매상인), 시전상인, 객주, 여각, 공인
+ 송 상 : 개성 (담배, 인삼)
+ 경강상인 : 한강 (미곡, 어물)
67. 실학의 목표 ///
: 민생 안정, 부국강병, 자영농 육성을 통한 농민 생활 안정
68. 정약용///
① 저서 + 경세유표 : 통치구조, 행정 기구의 개혁 주장
+ 목민심서 : 지방관의 도리를 제시
+ 흠흠신서 : 형벌제도 개선을 요구
② 토지 제도 + 여전제 구상 + 마을 단위의 공동 농장 제도
| + 분배 : 노동량 기준
| + 공상론적 토지제도
+ 정전제 구상 + 국가에서 토지 매수 - 농민에게 재분배
+ 지주는 소작농에게 균등 분배
69. 박제가///
: <북학의> 저술
* 내용 : 청과의 통상 주장, 수레, 선박 이용, 절약보다 소비 강조<소비론>
70. 중농학파와 중상학파///
중농학파
* 남인
* 농촌에 기반
* 지주제 철폐에 반대
* 신분제도 유지 주장
* 화폐제도 부정
* 대원군, 한말 애국계몽사상가에 영향
* 일제 시대의 국학자
중상학파
* 노론
* 도시에 기반
* 지주제 철폐
* 신분제도 폐지 주장
* 화폐 사용 주장
* 개화 사상가에 영향
공통점 : 상공업에 대한 국가 통제, 간섭을 인정
71. 한반도 중립론 ///
: 부들러, 유길준 (갑신정변 이후)
72. 강화도 조약///
① 치외법권 인정 ② 불평등 조약 : 조선영해 자유측량, 개항장 조차지 선정
③ 일본의 경제, 정치, 군사적 침략 의도 반영 ④ 부산, 원산, 인천 개항
73. 조선 책략///
+ 내용 : 親中國 結日本 聯美國 (미국과의 수교 주장)
+ 목적 : 러시아 견제
*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한 사건들 : 나선정벌, 거문도 사건, 용암포 사건
조선책략, 제2차 영일동맹
74. 개화 사상///
* 북학파→통상개화론자→개화파+청 : 양무운동 - 온건개화파 : 사대당
+일 : 문명개화론 - 급진개화파 : 개화당
* 개화정책 : 통리기무아문, 12사 설치, 2영, 별기군 설치
75. 위정척사운동///
① 성격 : 성리학적 전통 질서 수호(존왕양이), 제국주의 침략 배격, 국민적 지지 받음
② 철학적 기반 : 주리론 → 이황의 성리학 → 위정척사사상 → 항일 의병 운동
③ 전개
1860대 +병인양요
+이항로,기정진
+통상반대운동,척화주전론
1870대 +강화도조약
+최익현,유인석
+개항반대운동,왜양일체론,개항불가론
1880대 +저선책략유포
+이만손
+영남만인소,개화반대운동,홍재학의 척사론
1890대 +을미사변
+항일의병운동
④ 영향 : 강력한 반침략, 반외세의 의지 표명, but 개화정책의 장애물, 역사발전에 역행
76. 갑신정변의 개혁 내용///
* 행정기구 개편 : 규장각, 혜상공국, 내시부 폐지, 군사제도 개편(4영→1영, 근위대 설치), 호조에서 재정 전담, 순사제 시행,
* 기타 : 대원군 송환요구, 탐관오리 처벌, 지조법 개혁, 문벌 폐지
77. 동학 운동 : 폐정개혁 12조 주장///
- 탐관오리, 횡포한 부호, 불량한 유림, 왜와 내통자 처벌
- 신분면 : 청상과부 재가 허용, 7종의 천인 차별 개선, 노비문서 소각, 문벌 폐지 → 갑오개혁에 반영
- 기타 : 무명 잡세 폐지, 기존 공사채 무효화, 토지의 평균 분작
78.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의 공통점///
: 탐관 오리 처벌, 문벌 폐지(인민 평등)
79. 갑오 개혁///
① 정치적 개혁 + 청의 종주권 부인, 의정부, 궁내부 분리,
+ 사법부의독립 - 경찰제의 실시
+ 과거제 폐지, 관찰사의 권한 축소(사법권, 군사권 박탈)
② 경제적 개혁 + 조세의 금납화, 화폐의 은본위제 도입, 도량형의 통일
+ 재정의 일원화(탁지부)
80. ///
+ 갑신정변, 갑오개혁의 공통점 : 경찰제 실시, 재정의 일원화, 문벌폐지
+ 갑신, 갑오, 동학의 공통점 : 문벌 폐지 (사민평등 - 성리학적 신분질서 부정)
+ 갑신, 갑오, 헌의6조 공통점 : 재정의 일원화
81. 독립협회///
① 헌의 6조 + 칙임관 임명은 중의에 따를 것
+ 외국인에게 의지하지 말 것
+ 언론 집회의 자유 보장, 중대 범죄의 공판, 공개
+ 예산을 공표할 것, 재정은 탁지부서 전관할 것
② 전개 + 자유민권사상 : 중추원 개편 -- 의회 구성 (민주주의 사상)
+ 자강개혁사상 : 입헌군주제 (근대화 사상)
+ 자주독립사상 : 이권 양여 반대 -- 중립 외교 주장 (민족적 사상)
82. 광무 개혁///
① + 국호 : 대한 제국, 연호 : 광무, 칭호 : 황제
+ 성격 : 구본신참(舊本新參) - 복고주의적 성격, 대한국제 반포
② 정치적 개혁 : 황제권, 자위 군대의 강화 - 개혁의 초점
중추원 구성 - 민의 반영에 노력
③ 경제적 개혁 : 지계의 발급(근대적 토지 소유권), 양전사업의 실시
④ 사회적 개혁 : 통신 개혁, 교통, 통신 시설 개선
⑤ 교육적 개혁 : 신교육령 + 소학교, 중학교, 사범학교 설치, 실업 교육 강화
+ 외국에 유학생 파견
⑥ 외교적 개혁 + 간도에 관리 파견 : 이범윤
+ 플라디보스톡에 통상 사무관 파견
83. 의병///
① 을미의병 + 계기 : 을미사변(1895), 단발령
+ 의병장 : 유인석, 이소응 등 (대부분 유생 출신 의병장)
* 고종의 해산 권고로 해산함
② 을사의병 + 계기 : 을사조약(1905), 최익현 : 왜양일체론
+ 신돌석 : 평민 출신의 의병장, 유격전술
③ 정미의병 + 계기 : 고종의 강제 퇴위, 군대해산
+ 해산 군인의 가세로 화력과 규모 강화 → 의병 전쟁
+ 13도 창의군의 서울 진공 작전, 간도.연해주 의병의 국내 진공 작전
④ 소멸 : 일본의 남한 대토벌 작전(1914)
84. 을사조약과 항일 운동///
① 고종의 결재 없이 5명의 대신이 서명함 (원칙적으로 무효)
② 민영환의 자결, 이상설, 안병찬등의 조약 파기 상소
③ 장지연이 황성신문에 '是日也放聲大哭'의 논설 개재
④ 5적 암살단 조직 : 나철, 오기호 등
⑤ 고종의 외교활동 + 미국에 헐버트 파견, 지원호소(조미수호통상조약에 근거)
| -- 미.일의 가쓰라 태프트 밀약으로 실패
+ 헤이그 특사 파견 : 이상설, 이휘종, 이준
* 고종의 강제퇴위 → 한일 신협약 → 군대해산
85. 보안회 (1904)///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철폐
86. 신민회(1907)///
① 성격 : 비밀단체, 안창호 주도
② 해체 : 105인 사건(안명근 사건)으로 해체
③ 업적 + 교육 : 대성, 오산학교 건립
+ 경제 : 태극서관(대구), 평양의 도자기 회사 건립 운영
+ 해외 독립 운동 기지 건설
- 밀산부 한흥동(이상설, 이승희)
- 서간도 삼원보의 신흥강습소(신흥무관학교) : 이희영, 이상룡, 이시영
87. 국채 보상 운동(1907)///
- 대한매일신보 주도, 제국신문, 황성신문, 만세보 협조
88. 민족주의 사학///
① 신채호+ 낭가사상
+ 조선상고사, 조선사 연구초, 독사신론(민족주의 사학 기틀 확립), 의열단 선언
② 박은식 : 혼 사상,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89. 국권의 피탈///
① 한일의정서 : 군사기지 이용권
② 제1차 한일 협약 : 고문정치
③ 을사조약 : 외교권 강탈, 보호정치, 통감부 설치
* 카쓰라 태프트 밀약(미.일), 제2차 영일동맹, 러일전쟁의 승리, 포츠머스 조약 등을 통해 일본의 조선 독점을 인정받음.
④ 한일 신협약(정미7조약) : 자관정치, 행정권 강탈
⑤ 군대해산
⑥ 기유각서 : 사법권 박탈 (→ 경찰권 박탈)
90. 신간회///
① 주체 :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합작
② 성격 : 공인된 허가 단체 (反 신민회는 비밀결사)
③ 활동상황 + 교육 - 한국인 본위의 교육, 한국어 교육 실시, 학문의 자유(과학사상)
+ 기타 - 착취 기관 철폐, 이민 정책 반대
+ 강령 + 민족의 단력을 공고히 한다.
+ 정치적, 경제적, 각성을 촉구한다.
+ 기회주의를 일체 배격한다.
④ 영향 : 광주학생운동(1929)에 영향
⑤ 자매단체 : 근우회(김활란, 유영준)
91. 친일단체///
- 조선사 편수회, 조선문인 협회, 고적 조사 위원회, 법전 조사국, 취조국, 청구학회
(反 : 진단학회 - 실증적 객관적 서술, 역사학을 독립학문으로 정립)
92. 3.1 운동의 성격///
- 반제국적, 민족독립, 민족자결, 범국민적, 비폭력, 비조직적 항일운동
- 영향 : 상해 임시 정부 태동의 계기, 중국의 5.4 운동, 인도의 무저항 운동,
서아시아의 민족운동에 영향
93. 상해 임시 정부///
① 정치 형태 + 임시 의정원(국회 : 입법부)
+ 국무원 (행정부)
+ 법원 (사법부)
② 활동사항
1) 연통제 : 국내 비밀 행정 조직
교통국 : 연락 기구
2) 외교 + 김규식 - 프랑스 파리강화회의 파견 : 한국의 독립 주장
+ 이승만 : 구미 위원회
3) 군자금 조달 : 만주 - 이륭양행, 부산 - 백산상회, 애국공채 발생
4) 광복군 창설, 독립 신문 발행, 사료 편찬소(한일관계 사료집 편찬),
육군 주만 참의부, 애국단
94.독립 의군부///
: 고종의 밀서에 의해 조직된 전직 관리, 유학자 등의 전국 규모의 항일 단체 (임병찬)
95. /// + 대한 광복군 정부 : 이상설, 이동휘, 정부통령, 연해주에 위치
+ 선명회 : 유인석, 이상설 - 피의 투쟁 결의
96. 현대사///
① 카이로 회담 - 한국 독립 최초 보장
② 얄타회담 - 38선 경계 합의
③ 포츠담 회담 한국 독립 재확인
④ 모스크바 3상 회의 - 한국의 5년간 신탁 통치 결의
⑤ 미소공동위원회 : 모스크바 3상 회의 결정 사항 수행 목적 (정부구성) - 결렬
⑥ 4개국의 외상 회담(미,영,중,소) : 소련측 거부
⑦ U.N 총회 상정 -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 결성, 자유 총선거 실시
- 정부구성, 북한측의 유엔한국임시위원단 입북 거절
⑧ U.N 임시 소총회 - 선거 가능 지역서 총선거 실시 결정
- 김구, 김규식 반대 : 남북협상 시도 실패, 이승만 찬성
⑨ 4.3 제주도 폭동 사건
⑩ 5.10 총선거 - 대한민국 정부탄생
97. 제1공화국///
① 지방자치 실시(제1,2 공화국)
② 농지개혁 실시 + 목적 : 소작농 철폐, 지주제 철폐
+ 내용 : 유상매수, 유상분배(3정보 이내로 한정) - 농토에 한정(임야 제외), 부재지주 불인정
+ 결과 : 실패
cf : 북한 - 무상몰수, 무상분배
98. ///
발췌 개헌안 : 대통령 직선제, 중임 제한 조항 삽입
사사오입 개헌 : 중임 제한 조항 철폐
99. 제2공화국///
- 제3차 개헌, 의원 내각제, 양원제, 지방 자치제
100. 제3공화국 ∼ 제6공화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