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할을 정해서 도둑놈을 잡아내는 임금놀이를 해 봅시다.
놀이 방법
1. 종이를 가로 5cm, 세로 8cm 정도로 오려서 사람 수만큼 준비합시다.
2. 종이에 '임금'과 '포도대장', '방망이', '도둑', '민간'이라고 쓰는데 만일 사람이 더 있으면 민간을 둘 이상 씁니다.
3. 글자가 보이지 않게 접어서 섞어 가지고 놀이 던졌다가 떨어뜨립니다.
4. 자유롭게 떨이진 종이를 한 장씩 집습니다.
5. 종이에 씌어진 대로 임금은 임금, 포도대장은 포도대장 등 각자 자기의 지위를 얻게 됩니다.
6. 임금의 지위를 얻은 사람이 자리를 잡고 '포도대장은 이리 오너라' 하고 포도대장을 부릅니다.
7. 포도대장의 지위를 얻은 사람은 시침을 떼고 다른 사람의 얼굴을 살핀 다음 '예' 하고 임금 앞에 나섭니다.
8. 임금은 포도대장에게 '도둑을 잡아오너라' 하고 명령합니다.
9. 포도대장은 명령을 받고 여럿 중에서 도둑을 찾습니다. 찾다가 그 사람인 것같이 여겨지면 잡아서 임금 앞에 대령합니다.
10. 포도대장이 정확하게 잡아왔으면 도둑이 방망이에게 매를 맞으나 그렇지 못하면 포도대장이 방망이 역할을 맡은 사람에게 매를 맞습니다.
알아 두세요
지방에 따라서 원놀이, 원님놀이라고 하여 주로 추운 겨울 방 안에서 많이 하던 놀이입니다. 원님놀이에서는 포도대장이 포졸이 되겠지요. 대부분 사람들은 거짓말을 하거나 남에게 감출 일이 있으면 얼굴이 빨개지고 동작이 자연스럽지 모하게 됩니다. 특히 어릴수록 이런 현상이 두드러집니다. 이는 속으로 생각하는 것과 밖으로 표현하는 것이 이분화되지 못한 때문인데 좋다 또는 나쁘다고 딱 잘라 말할 수 없는 자연스러 현상입니다. 이 놀이의 재매는 자신도 잘 못 하는 감정과 표현의 분리를 다른 사람도 잘못 하는 걸 보고 서로 즐기는 것입니다. 게다가 서로 역할이 달라 한쪽에서는 감추어야 하고 한쪽에서는 이것을 찾아 내야 하는 가운데 생기는 긴장도 이 놀이를 재미있게 하는 요소입니다. 비록 도둑의 역할을 맡아 방망이에게 얻어맞아도 다시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 같습니다. 놀이를 하다 보면 공연히 자기가 도둑인 것처럼 너스레를 떠는 아이, 도둑의 역할만 되면 얼굴이 빨개지는 아이, 어떤 역할을 맡았는지 도무지 알 수 없게 표정 관리를 잘 하는 아이를 보게 됩니다. 그리고 서로가 다른 사람을 보면서 자신은 어떠한지 객곽적인 모습을 생각하게 됩니다. 나이를 먹어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 자기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여럿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바로 보려고 합니다. 이런 성장 단계에서 이 놀이는 여럿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보는 데 아주 적당합니다. 따라서 더 많이 자라면 (고학년이 되면) 이 놀이가 시들해져 하지 않게 되는데 벌써 어느 정도 자신의 모습을 객관화시킬 수 있기 때문으로 이해됩니다. 따라서 공부에도 때가 있듯이 노는 것도 때가 있다는 말이 성립되는 것입니다. 공간이 너무 넓거나 인원이 너무 많으면 산만해지고 놀이의 진지성이 떨어져 재미도 없어집니다. 따라서 실내에서 하는게 좋고 인원도 많아야 7,8명을 넘어서는 안되고 5,6명이 가장 적당합니다.
기타/전래놀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