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전래놀이

망줍기

by Frais Study 2020. 6. 18.

  망을 던져놓고 돌아오면서 줍는 ‘망줍기 놀이’를 해봅시다.
  
    놀이방법
1. 1번 칸부터 망을 던집니다.
2. 망이 들어 있는 칸은 밟지 말고 두 발을 벌려서 딛고 나머지는 한발로 딛습니다.
3. 4-5,7-8번칸은 두 발을 벌려서 딛고 나머지는 한 발로 딛습니다.
4. 망은 가다가 줍지않고 8가지 가서 돌아올때 망이 있는 바로 전 칸에서 줍습니다.
5. 망을 줍고  나오면 계속할 수 있고, 남보다 먼저 차례대로 8전까지 던져서 줍고 나오면 이깁니다.
6. 두발로 딛는 4-5 또는 7-8번칸 한쪽에  망이 있으면 한 발로 딛습니다.
7. 금을 밟거나 발을 잘못 디디면 죽습니다.
  
    놀이변형 
  조금 어려운 망줍기 놀이를 해봅시다.
땅에 적당한 크기로 그림판을 그립니다.
잘 하면 좀 크게 그리고 잘못하면 작게 그립니다.
두 명이 해도 되고 편을 나눠 해도 됩니다.
1. 1*2, 4*5, 7*8단은 두 발을 벌려 딛고 3*6단은 각각 한 발로 딛습니다.
2. 망은 1번칸부터 던지고 시작합니다.
3. 망이 있는 칸은 들어가지 못하고 다음칸부터 들어갑니다.
4. 망은 돌아오다가 바로 전 칸에서 줍습니다. 즉 1번에 있는 망은 2번에서 8번에 있으면 7번에서 줍습니다.
5. 만약 3단에서 죽었다면 기억하고 있다가 다음에 자기차례가 되면 3단부터 시작합니다.
6. 1단에 성공하면 차례로 2단,3단으로 계속합니다.
7. 8단까지 성공으로 하늘로 던집니다. 하늘까지 가서는 망을 발등위에 올려놓고 위로 차 올려 손으로 잡고   다시 돌아오면 성공입니다.
8. 하늘까지 성공하면 이제는 뒤돌아서서 아무 칸이나 향해 던집니다.
9. 망이 들어간 칸은 자기 땅입니다. 자기 땅에서 표시를 하고 두 발로 디딜수 있습니다.
10. 다른 사람의 땅에는 들어갈 수 없으므로 건너 뛰어야 합니다.
11. 땅을 많이 따거나 상대방이 뛰어 넘을수 없어 포기하면 놀이에서 이깁니다.
이렇게 하면 죽습니다.
발로 금을 밟았을때
망을 던졌는데 다른 곳에 들어가거나 금에 닿았을때
다른 사람의 땅에 망이나 놀이하는 사람이 들어갔을때
자기가 전에 했던 단을 잊어버려 다른 단부터 시작했을때
  
    알아두세요
  오래전부터 우리 나라 어디를 가나 볼수 있던 우리 놀이로 망을 던져 놓고 돌아오면서 줍는 놀이가 많은데 이를 통틀어 ‘망줍기놀이’라고 합니다. 비슷하지만  형식이 다른 ‘망차기’와 구분되는 놀이입니다.이런 놀이는 우리 나라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세계 어디에서나 쉽게 발견되는 보편적인 놀이입니다. 왜 맨위를 하늘이라고 했을까요? 우리 조상들은 하늘을 섬기고 땅에 감사하며 자연 속에서 어울리며 살았습니다. 이렇게 감사하며 사는 마음이 우리 문화의 바탕이 되고 그러한 문화가 놀이에  반영된 것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서양에서도 이와 비슷한 망줍기를 하는데 거기에서도 맨위를 하늘(sky)라고 한다는 점입니다. 망줍기놀이에서 맨 위가 하늘이라면 칸이 그려진 곳이 바로 땅입니다. 그리고 놀이하는 어린이는 사람으로 하늘을 떠받치고 땅에  발을 딛고 존재한다는 심오한 뜻이 담겨 있습니다. 윷놀이 판이나 고누 등에서도 이러한 조상들의 삶의 철학을 느낄수 있습니다. 망줍기 놀이를 지도할때 아이들에게 놀이란 단순한 놀이 이상의 생활문화가 반영된 것임을 생각할 수 있도록 가르쳐 주어야 합니다. 망줍기 놀이의 재미는 한 과정(1단에서 8단)씩 거치면서 땅을 하나하나 차지해 가는 것에서 절정을 이룹니다. 망을 던져 놓고 줍는 행위는 땅을 차지하기 위한 과정으로 힘들고 고된 것입니다 . 그러나 아이들은 하나라도 내 땅을 차지하고 그 땅에 내 소유임을 표시하는 것에서 만족감을 느끼고 자기 확인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 놀이를 ‘땅따먹기’라고도 합니다.  처음에 망을 던져 놓고 줍는 과정까지만 지도하면 망줍기의 재미를 제대로 느끼게 할 수없습니다. 시간을 넉넉하게 잡고 비록 한 칸일지라고 땅을 차지하는 기쁨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아이들에게는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옛날에는 주로 여자아이들만 망줍기나 망차기를 했는데 요즘은 달라졌습니다. 그 당시에는 사회적으로 남녀의 역할 구분이 명확해 놀이에서도 구분이 나타났지만 오늘날에는 이런 구분은 중요하지 않다고 여기는 분위기가 형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점들은 놀이에도 사회의 조건이나 환경이 반영된 좋은 사례라고 여겨집니다. 망줍기놀이를 ‘사방치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입니다. 사방치기의 ‘사방’은 방이 네개라는 뜻인데 망줍기의 방이 여덟개입니다. 그러므로 망차기와 분명히 구분하여 ‘망줍기’라고 하는 것이 맞습니다.
  

'기타 > 전래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자 밟기  (0) 2020.06.18
포수놀이  (0) 2020.06.18
어미 새끼  (0) 2020.06.18
한발뛰기  (0) 2020.06.18
깃대 쓰러뜨리기  (0) 2020.06.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