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1/국어

근대 국어

by FraisGout 2020. 4. 21.

근대 국어의 특징

16세기 후반부터 동요를 보이던 성조가 사라짐, 상성(上聲)은 현대 장음(長音)으로 변화함

문자 ,,등이 사라지는 등 문자 체계에 변화가 옴

음운 가 완전히 소실됨. 중세 후기 둘째 음절부터 소실되기 시작한 가 이 시기에 들어 첫 음절에서도 소실됨. , 표기법 상에는 그대로 남아 있어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에 의해 폐지될 때까지 쓰임

한글로 쓴 소설 문학이 대중들에게 인기를 모으고, 한글을 사용하는 계층의 사회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한글 사용의 폭이 확대됨

개화기에 이르러 한글 사용이 확대되면서 문장의 구성 방식이 현대와 거의 비슷해짐

개화기 서구 문물의 도입으로 신문물어가 많이 도입됨

 

 

표기법과 운용법

(1) 종성법 - 7종성법

16세기 이후 종성의 은 뒤바뀌어 쓰이다가 점차 으로 통일되어 종성으로 ,,,,,,7가지만 쓰게 됨

 

(2) 거듭적기

앞말의 종성을 적고 뒷말의 초성에도 내려적는 것으로 17~19세기 문헌에서만 종종 그 표기가 보임 ()

 

 

주요 문법 용어와 개념

(1) 재음소화

근대 국어에 쓰인 표기법으로 , , , '+’, ‘+’, ‘+’, ‘+으로 2차 분석하는 것을 재음소화라고 함.

() 깊은깁흔, 불어붇허

 

(2) 원순 모음화

18세기 영정조대에 대폭적으로 일어난 현상으로 평순 모음가 자음,,과 만났을 때 원순 모음 로 바뀌는 현상을 말함

() >, >, 므겁다>무겁다

 

(3) 구개음화

,,,이 모음 ,,,,,와 만났을 때 ,,,으로 바뀌는 현상으로 17,18세기에 보편화됨

() 졍딕>졍직, 맛디>맛지, >썰물, 힘힘하다>심심하다

 

-

- 붉은 기운

1. 동명일긔

 

거룩 븕은 긔운이 하노더니 이랑이 소 놉히나를 불러

홍색(紅色) 매우 아름다워 원순모음화(X) 기생 이름 재음소화 모음조화 파괴

 

거듭적기(중철), 7종성법, 원순모음화(X)

헤치고

음 소실 높이놉히

져긔 믈밋보라 웨거 급히 눈을 드러 보니 믈밋 홍운을 헤앗고 큰 실오리

이랑의 대사 인용 외치거늘 (모음조화 파괴 웨거늘) 7종성법 ()+- 재음소화, 7종성법

 

줄이 븕기 더옥 긔이며 긔운이 진홍 한 것 나 손바닥 너  이 그믐

명사형 어미 사용, 원순모음화(X) 진홍 같은 것이

색채 대비 - 선명한 시각적 이미지 형성

밤의 보는 숫불빗 더라.  나오더니 우흐로 젹은 회오리밤 한 것이 븕기

(모음조화 파괴) 원순모음화(O) - >불 시간의 경과 우+으로(처소부사격 조사) 밤송이 속에 외톨로 들어 있는 동그란 밤

호박  통낭 호박도곤 더 곱더라.

호박, 누런색 광물 통랑(通郞)하기는, 속까지 비치어 환하기는 󰀲 ‘-보다(비교부사격 조사)

(명사형 어미 사용)

그 븕은 우흐로 흘흘 움여 도 처엄 낫던 븕은 긔운지 반 쟝 너만치

생동감, 사실감 손바닥 너  백지

 

비최며 밤 던 긔운이 되야  커 가며 큰 븕웃븕웃 번듯번듯

반듯이 회오리 밤, , 수레박희의 원관념 생동감, 사실감

 

놀며 바다희 치며 몬져 븕은 기운 흔들며 놀기 더욱

적색(赤色) [] 퍼지며 지 반 쟝 너 없어지며

 

고 독  이 좌우로 놀며 황홀이 번득여 냥목이 어즐며 븕은

자주 항아리 양목(兩目), 두 눈(두음법칙X)

 

긔운이 명낭야 첫 홍을 혜앗고 텬듕 것이 수레박희 야 믈 속

명랑(明朗), 흐린데 없이 밝고 환함 천중(天中), 하늘의 한 가운데(구개음화X) 수레바퀴

 

오르()+올나

으로셔 치미러 밧치올나 븟흐며 항독  긔운이 스러디고 처엄 븕어

+으며븓흐며븟흐며’ - 재음소화, 7종성법 없어지고 +’ - 거듭적기(중철)

7종성법, 구개음화(O)

최던 거 모혀 소혀텨로 드리워 믈 속의 풍덩 듯 시브더라 일됴요

모여 소의 혀처럼 빠지는 듯 - 구개음화(X) 조요(照耀), 밝게 비쳐서 빛남

텨로:-처럼(비교부사격 조사) 구개음화(X)

믈결의 븕은 긔운이  며 일광이 쳥낭하니 만고 텬하의 그런 장관은

청랑(晴朗), 맑고 밝음 천하 - 구개음화(X) 대두(對頭), 비교함

업슬 더라⇒ 『 』: 글쓴이의 주관적 감정 표현

 

 

 

 

- ‘의유당관북유람일기(意幽堂關北遊覽日記)’, 영조 48(1722)

 

 

 

1 . 이 글에서 중세 국어와 달라진 점을 눈에 띄는 대로 찾아보자.

 

   

음운

 - '' 소멸로 '''처엄'으로 바뀌었다.

 - 성조가 소실되어 방점이 나타나지 않는다.

 - 모음조화파괴가 매우 심하게 나타나 '나를, 보는, ' 등의 예를 볼 수 있다.

문법

 - 명사형 어미 '-'가 매우 활발하게 쓰여 '븕기, 통낭'와 같은 예를 볼 수 있다.

어휘

 - 감각이나 색채를 나타내는 단어들이 매우 활발하게 쓰였으며 순 한글 어휘가 많이 나타난다.

어휘의 형식면에서도 약간의 차이를 보여 중세 국어의 '그몸''그믐'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표기법

 - 분철(끊어적기)가 확대된 모습을 보인다. (: 한 것이, 물 속으로셔, 긔운이)

 - 중철(거듭적기) 표기가 나타난다. (: )

- 어중의 'ㄹㄹ''ㄹㄴ'으로 표기된 예가 있다. (: 올나)

 - ''이 쓰이지 않는다. (: )

 - 재음소화 표기가 나타난다. (: 붓흐며)  

재음소화란 ', , , ''+, +, +, +'으로 2차 분석하는 것임

 

 

2. 여성들이 한글로 문자 생활을 한 이유를 조사하고, 그 의의를 토론해 보자.

한글 창제는 지배 계층의 주요한 관심사가 못 되었습니다. 특히 한글 창제가 우리 나라 문화사에 길이 남을 업적이었음에도 '조선 왕조 실록' 등에 매우 간단하게만 언급되었다는 점, 이후 한글이 사용된 분야는 한문으로 된 유교나 불교 경전 등의 언해본을 중심으로 한 협소한 부분 등이었다는 점에서 이를 잘 알 수 있습니다.

한글이 상당히 경시되었다는 점은 언문, 암클, 아햇글과 같이 한글이 불리기도 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말을 자유로이 표기할 수 있는 한글은 지배 계층에 편입될 수 없었던 여자들, 특히 궁중을 중심으로 한 여성들의 편지, 일기 등에 많이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여성들의 섬세한 감정과 소회를 적기에 우리말을 자유로이 적을 수 있는 한글은 안성맞춤이었던 듯 싶습니다. 옛 여성들의 활발한 한글 사용은 지금 남아 있는 한글 자료의 질과 양을 더욱 풍부하게 하고 있습니다.

 

2. 독립 신문 창간사

 

[] 국문만 사용하고 띄어쓰기를 하는 의의

모음조화 파괴 ‘-형이 아닌 ‘-형으로 문장 종결

우리신문이 한문은 아니쓰고 다만 국문으로만 거슨 샹하귀쳔이 다보게 홈이라

한문 구절 不用을 그대로 번역한 문투 개화기 이후 한글의 명칭 이어적기 만민 평등 사상 의고적 문어체(++이라)

국문을 이러케 귀졀을 여 쓴즉 아모라도 이신문 보기가 쉽고 신문속에 잇말을

띄어쓰기 적용 ‘-’ : 의고적 표현

자세이 알어 보게 이라『 』: 전 국민을 독자층으로 확보하려 함

하는 것이다(의고적 문어체 ++이라’)

 

 

[] 조선 국문이 한문보다 우월한 점

※ ⓐ

각국에셔들이 남녀 무론 본국 국문을 몬저 화 능통후에야 외국 글을

 

막론하고, 가릴 것 없이 자국의 문자

법인죠션셔죠션 국문은 아니 오드한문만 공부  에 국문을

동일 단어를 같은 글에서 다르게 씀 주체성이 결여된 사대주의적 태도 비판

잘아이 드물미라 죠션 국문고 한문고 비교여 보면 죠션국문이 한문 보다

 

얼마가 나흔거시 무어신고호기가 쉬흔이 됴흔 글이요  이글이

문맥상 불필요 현대 국어와 다른 의문형 종결 어미 사용 (인고인가) 학습의 용이성

죠션글이니 죠션 인민 들이 알어셔  한문신 국문으로 써야 샹하 귀쳔이 모도보

백사(百事) : 모든 일 - (목적격 조사 혼란) 해독의 용이성

고 알어보기가 쉬흘터이라한문만 늘써 버릇고 국문은 국문만쓴

★『 』: 국문의 우월성 배우기기 쉬움 알아보기가 쉬움 사용하지 않은

글을 죠선 인민이 도로혀 잘 아러보지 못고 한문을 잘알아보니그게 엇지 한심치

오히려 『 』: 주객전도(主客顚倒)

아니리요

국문 미사용에 대한 비판적 태도(설의적 표현)

 

 

[] 국문이 어려운 이유와 한문 사용의 폐해

어절 단위의 띄어쓰기가 안됨

국문을 알아보기가 어려운건 다름이 아니라말마 이지 아니

 

말마(목적격 조사 혼란)

그져 줄줄려 쓰 가 우희 부터지 아부터몰나셔 몃번 일거

세로쓰기 ★『 』: 국문을 알아보기 어려운 이유 - 띄어쓰기를 안 함 모르()+아셔몰나셔(‘ㄹㄴ형 활용)

본후에야 글가 어부터지 비로소 알고 일그니 국문으로 쓴편지 쟝을 보자

 

이어적기(연철)

한문으로 쓴것보다 더듸 보고 그나마 국문을 자조 아니 쓴고로 셔툴어셔 잘

거듭적기 까닭에 - 의고적 문어체

 

못봄이라그런고로 졍부에셔 명녕과 국가 문젹을 한문으로만 쓴즉 한문못

★『 』: 국문을 알아보기 어려운 이유 자주 쓰지 않아 서툶 명령(命令) 문서와 서적

 인민은 나모 말만 듯고 명녕인줄 알고 이편이 친이 그글을 못 보니 그사

남의 듣고 듯고’ - 7종성법 자신 - 한문못 인민

무단이 병신이 됨이라

아무 까닭 없이 『 』: 국문 미사용의 구체적 폐해

 

 

[] 독립 신문 구독의 의의

 

한문 못 다고 그사이 무식이 아니라 국문만 다른 물졍과 학문이

잘하고도 물정(物情) : 세상 형편

잇스면 그사은 한문만고 다른 물졍과 학문이 업보다 유식놉흔

+놉흔 : 재음소화

이 되법이라 죠션 부인네도 국문을 잘 물졍과 학문을 소견

여러 가지 사물을 인식하는 생각

놉고 실이 졍직 무론 빈부 귀쳔 간에 그부인이 한문은 잘고도 다른것 몰으

구개음화 (O)

귀죡 남보다 놉흔 사이 되법이라』『우리 신문은 빈부 귀쳔을 다름업시 이신문을

★『 』: 대조를 통한 신지식과 신학문의 중요성 강조 - 근대적 사고 반영

보고 외국 물졍과 졍을 알게 시니 남녀 노소 샹하 귀쳔 간에 우리

내지(內地) : 국내 +이니 시니 - 거듭적기(중철), 7종성법

신문을 로 걸너 간 보면 새지각과 새학문이 길걸 미리 아노라.

하루 걸러 - 격일간 발행 / 거르()+걸너(‘ㄹㄴ형 활용) 의고적 문어체 +++

★『 』: 독립신문 발간의 취지 - 국내외의 소식을 전함 / 독립 신문 구독의 의의 - 새지각새학문의 습득

 

- ‘독립신문(1896)’

 

1. 이 글의 어법이나 표기법이 오늘날의 글과 다른 점을 정리하여 말해 보자.

[표기법]

- 현대 국어에서보다 띄어쓰기 의식이 덜 발달되어 있어 '우리신문, 아니쓰고, 거슨' 등과 같이 어절 단위의 띄어쓰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 '과 같이 계 합용 병서가 아직도 쓰이고 있어 현대 국어와 차이를 보인다.

- 음가가 소실된 ' '', 무론'와 같이 여전히 쓰여 보수적인 모습을 보인다.

- ''가 이미 소멸된 지 오랜 시기인데도 '홈이라, 아노라'와 같이 ''가 쓰이는 보수적 표기를 보이고 있다.

- '놉흔''시니'와 같이 근대 국어 시기에 많이 나타나는 재음소화 표기와 중철 표기가 남아 있다.

- '일그니'와 같이 부분적으로 아직 연철(이어적기)의 표기 방식이 남아 있다.

- '사을, 말마'과 같이 목적격 조사의 혼란이 표기에 나타난다.

[어법]

- '샹하귀천이 다보게 홈이라' 등과 같이 문말에서 '-' 형식이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데 '-' 형으로 문장을 맺는 현대 국어와 차이를 보인다.

- '아니쓰고'는 한문의 구조(어순)를 그대로 직역한 문투를 반영하고 있어 문장 구조에 있어 아직 한문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고로'. '-'과 같이 한문의 영향을 받은 의고적 표현들이 많이 나타난다.

- '무어신고 '에서 볼 수 있듯이 의문형 종결 어미에 있어 현대 국어의 의문형 종결 어미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2. 이 글을 한 사람이 낭독할 때 무슨 내용인지 주의 깊게 듣고 개요를 작성하여 발표해 보자. 이 때, 부주의하게 들었던 점, 놓쳤던 점은 무엇인지 친구들의 개요와 비교하여 말해 보자.

 

   1) 독립 신문 국문 사용의 의의

        넓은 독자층 확보    띄어쓰기로 독해의 용이성 보장

   2) 한문보다 우월한 조선 국문

        학습의 용이성 전 조선인의 사용과 그 혜택

   3) 기존 국문 사용 방식의 난점과 국문 미사용의 폐해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 기존 국문의 사용 방식

        국문 미사용과 공문서 해독의 난점

   4) 유식하고 높은 사람 되기와 국문 신문의 의의

 

지은이 : 의유당

출전 : 의유당관북유람일기

연대 : 영조 48(1722)

표현 :

시간의 흐름에 따른 내용 전개

순수 우리말과 색채어의 다양한 사용

섬세한 사실적 묘사와 비유적 표현 사용(직유법)

주관적 감정 표현이 드러남

갈래 : 고대 수필, 기행 수필

문체 : 내간체(內簡體)

성격 : 사실적, 묘사적, 비유적, 주관적

주제 : 귀경대에서 본 일출의 장관

 

1. 비유적 표현 이해

: 회오리밤 수레박희

붉은 기운 : 큰 실오리 손바닥 너지 반 쟝 너, 소혀

 

2. 표기상의 특징

,의 문자 소실, 음운 의 음가 소실 (문자는 사용)

방점 소실 - 성조가 사라짐

7종성법 적용

'계 합용 병서 사용

모음 조화 파괴가 심함

끊어적기(분철)의 확대와 거듭적기(중철)의 등장

명사형 어미 ‘-의 활발한 사용

ㄹㄹ형 활용이 ㄹㄴ'형으로 나타남

재음소화 표기가 나타남

원순 모음화, 구개음화가 부분적으로 일어남

 

 

3. 섬세한 여성적 비유의 표현

실오리, 숫불빗, 회오리밤, 호박 구, , , , 수레박희, 소혀 직유법을 통한 시각적 이미지 부각, 표현의 참신함 획득

 

지은이 : 서재필

주제 : 독립 신문의 창간 취지와 의의

연대 : 189647

출전 : 독립 신문 창간호 제1

갈래 : 논설문, 신문 사설

표현 :

한글로 표기함

띄어쓰기를 시도함

언문 일치의 문체가 나타남

종결 방식에 의고적 표현을 사용함

성격 : 설명적, 계몽적

 

 

 

 

 

1. 표기 방식의 의의 이해

국문 전용 - 넓은 독자층 확보

띄어쓰기 - 독해의 용이성 보장

 

 

2. 표기상의 특징 파악

문자 의 사용 - 음가는 소실

방점 소실 - 성조가 없음

한글로 표기함

7종성법 적용

합용병서 사용

모음조화 파괴가 심함

끊어적기(분철)의 확대와 부분적인 이어적기(연철)의 사용

재음소화 표기와 거듭적기(중철) 표기가 남아 있음

목적격 조사의 혼란이 나타남

의고적 표현과 한문 문장을 번역한 문투가 많음

종결 어미와 의문형 어미가 현대 국어와 차이를 보임

현대 국어에 비해 띄어쓰기 의식이 부족함

 

'Study 1 >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운변동규칙  (0) 2020.04.21
기초 어휘  (0) 2020.04.21
고대 국어  (0) 2020.04.21
국어 어문 규범  (0) 2020.04.21
국어 문법 정리  (0) 2020.04.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