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1/국어17

고전문법 총정리 國語의 特質 國語의 特質 음운상의 특질 국어의 자음체계는(특히 파열음 계열에서)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의 삼중 체계를 이루고 있다. 語頭에 오는 자음에 제약이 있다.(頭音法則) 音節末에는 7개의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ㅇ)만이 실현된다.(음절 끝소리 규칙) 母音調和 현상이 있다. 同化作用이 있다.(모음동화→‘ㅣ’모음 동화. 자음동화→비음화, 설측음화) 音相의 차이로 의미가 달라진다. (주로 의성어, 의태어들이며 낱말의 뜻을 분화시키기도 한다. ) 모음 사이에 둘 이상의 자음이 올 수 없다. 모음 연접(hiatus)을 기피하는 현상이 있다. 어휘상의 특질 한자어의 비중이 크다. 높임말이 발달되어 있다. 감각어가 발달되어 있다.(예 : 노랗다. 샛노랗다. 노르스름하다. 누렇다. 느르끄레하다……) 상.. 2020. 4. 21.
고전 문법 1. 문자와 말소리 문자 - 훈민정음(훈민정음(訓民正音) 1. 명칭 ① 문자체계의 명칭 : 훈민정음(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 한글 ② 책이름 「訓民正音」 = 해례본(한문본) :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 2. 연대 세종 25년 (1443년) 음력 12월 창제 세종 28년 (1446년) 음력 9월 상한(양력 10월 9일) 반포(=훈민정음 해례본 간행) 3. 창제자 ­ 세종 4. 창제의 배경 - ① 借字表記法(향찰, 이두, 구절) ② 국어 음운 구조의 복잡성(특히 종성이 복잡해서 차차 표기법으로는 국어 를 충실히 적을 수 없었다. 5. 창제의 목적 - ① 자주, 애민, 실용정신 ② 국어의 전면적 표기(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포함) 6. 글자(字母)의 수 ­ 초성 17자, 중성 11자 훈민정음 해례본 예.. 2020.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