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910년 대 무력통치
1) 경술국치 이후 조선총독부 설치(일본 군인 출신을 총독으로 임명 > 입법, 사법, 행정 장악)
- 중추원 설치 : 총독 자문기관으로 친일파 한국인 구성
- 헌병 경찰제 : 헌병이 일반경찰 업무까지 담당, 즉결처분권
- 조선태형령 : 곤장제도로 조선인에게만 적용
- 일반 관리와 교사도 제복을 착용하고, 칼 착용
- 언론, 출판, 결사, 집회 등의 자유 억압
- 삼림령, 광업령, 어업령
2) 회사령 (1910년) : 조선 회사 설립 시, 총독의 허가를 받아야 함 > 민족 자본 성장 억압
3) 1차 조선교육령 (1911년)
· 보통교육, 실업교육 실시했으나, 일본어 위주의 교육과 초보적인 기술만 가르침 > 우민화 교육
· 일본보다 짧은 4년 수업
4) 토지조사사업 (1910년 ~ 1918년)
· 식민지배에 필요한 재정마련 및 토지약탈 목적
· 신고제 > 신고기간이 짧으며, 국가토지 및 미신고 토지 강탈
· 동양척식주식회사를 통해 일본인에게 조선의 토지를 싸게 판매함
1. 1910년 대 조선의 저항
1) 국외 독립운동 기지
- 서간도
· 신민회 - 삼원보 개척 및 신흥강습소·신흥무관학교
· 서로 군정서 -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무장독립운동단체
- 북간도
· 용정촌, 명동촌 형성 > 서전서숙(이상설, 만주의 신학문 민족교육기관)
· 명동학교 설립
· 대종교의 중광단 > 북로 군정서
- 연해주
· 블라디보스톡 신한촌
· 권업회, 권업신문
· 대한광복군 정부, 대한 국민 의회 결성
- 상하이
· 신한청년당 >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 파견
2) 국내 항일 비밀결사
- 독립의군부 (1912년) : 고종의 밀명을 받아 임병찬이 조직, 복벽주의, 국권반환요구서 발송 계획
- 대한광복회 (1915년)
· 박상진 총사령 중심으로 대구에서 결성, 공화정체 국민국가 수립 목표
· 독립군 양성을 위한 군자금 모금활동, 군자금을 모아 만주에 무관학교 설립하려고 함
· 행형부를 설치하여 일본인 관리와 민족 반역자 처단
3) 3·1 운동 (1919년)
- 배경 :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 신한청년당 파리강화회의 > 해외에서의 독립선언(만주 독립선언, 일본 유학생의 2·8독립선언)
- 천도교(손병희), 기독교(이승훈), 학생 > 독립선언서 작성, 민족대표 구성
- 고종의 장례일에 맞춰 운동 계획
- 민족대표 33인이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서 낭독
- 탑골공원 독립선언식 : 학생 및 시민의 평화 만세 시위
- 확산 : 평양, 원산 및 주요 도시 > 학생 주도 및 다양한 계층 참여, 지역운동전개
농촌으로 확대 > 무력 투쟁으로 변화
- 탄압 : 헌병 경찰의 발포 및 탄압 (경기도 화성 제암리 사건) > 무력 투쟁
- 의의 및 결과
· 모든 계층이 참여한 거족적 민족운동
· 일제의 통치 변화 : 무력통치 > 문화통치
· 만주 및 연해주 무장독립운동 활성화
·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의 계기
· 중국의 5·4운동, 인도의 민족운동 등 세계약소국의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침
4)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19년 4월 13일)
- 국내·외 여러 임시정부의 통합으로 상하이에 수립
- 3권 분립에 입각한 민주공화제 : 임시 의정원, 국무원, 법원
- 활동
· 비밀행정조직 : 연통제와 교통국 조직 > 독립운동 자금모금, 국내연락망 구축, 정보수집
· 자금 마련 : 독립공채 발행, 의연금 모금, 만주와 부산을 통해 임시정부에 자금 전달
· 문화 : 독립신문 발행, 임시사료편찬위원회 설치
· 군사 : 군무부 설치, 직할부대 편성
· 외교 :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 파견, 워싱턴에 구미위원회 설치
- 국민대표회의 개최 (1923년)
· 연통제와 교통국의 붕괴로 인한 외교 중심 독립운동에 한계를 느낌
· 민족운동가들의 갈등 심화
· 이승만의 위임통치청원서 비판 > 이승만 탄핵 > 박은식 대통령취임 > 국무령 중심 내각책임제
· 창초파(신채호), 개조파(안창호)의 대립 > 회의 결렬 > 독립운동가 이탈 > 임시정부 침체기
- 김구의 한인애국단 (1930년대) : 상하이에서 조직된 항일독립운동단체로, 일본인 암살 목적
· 이봉창(1932) : 도쿄, 일왕에게 폭탄 투척 > 실패
· 윤봉길(1932) : 상하이 훙커우공원에서 일본군 전승 기념식장에서 도시락 폭탁 투척
· 윤봉길 사건 이후, 중국 국민당의 독립운동적극지원
- 임시정부 충칭에 정착 (1940년 대)
· 삼균주의 건국강령 반포
· 한국광복군 창설 : 임시정부의 군대로, 중국의 지원을 받아 창설 > 국내진공작전 계획
3. 1920년 대 문화통치
1) 친일파 양성, 민족 이간질 및 분열 정책
- 총독에 문관출신도 임명 가능
- 도 평의회, 부·면 협의회 구성 : 한국인의 참여를 명목으로 설치했으나, 일본인으로 구성
- 언론, 출판, 결사, 집회 등의 자유 일부 허용
2) 보통경찰체
- 헌병경찰제 폐지 > 경찰 수 증가
- 태형령 폐지
- 치안유지법 제정 (1925년) > 독립운동 탄압
3) 조선사편수회 : 일제 중심의 한국사 편찬 목적
4) 조선일보, 동아일보 발행 허용 > 언론 탄압은 강화됨
5) 회사령 철폐 (1920년) : 일본 기업에 한국에 진출하기 위해, 회사령을 폐지하고 신고제로 변경
6) 관세철폐 (1923년) : 일본 상품의 수입 증가로, 한국 기업이 타격을 입음 > 물산장려운동의 계기
7) 2차 조선 교육령 (1922년)
- 보통학교 6년으로 연장하고, 고등교육을 허용
- 한국어 필수
- 경성제국대학설립 : 민립대학설립운동을 막고자, 일제가 설립한 학교로 한국인의 취학률은 저조하였으며, 고등교육 제한시킴
8) 산미증식계획 (1920년~1934년)
- 쌀 생산량을 늘려, 일본으로 수탈하기 위함
- 수리시설 개간, 품종 개량 등으로 한국농민 부담 > 국내 식량사정 악화 > 만주에서 잡곡 수입
4. 1920년대 조선의 저항
1) 실력양성운동
- 물산장려운동 (1923, 조선물산장려회)
· 회사령 폐지, 관세 철폐로 위기의식 심화
· 조만식 중심으로 평양에서 시작 : 조선 물품 사용하자 / 근검저축, 금주, 단연, 토산품 애용운동
· 전국으로 확대
· 한계 : 일부 기업가에 의하나 토산물 가격 상승 > 사회주의 세력의 비판
- 민립대학 설립운동
· 식민지교육차별 및 2차 조선교육령 공포(대학설립가능)
· 조선교육회 조직 : 이상재 중심으로 조선 민립대학 기성회 > 모금운동
· 한계 : 모금 부족, 일제의 경성제국대학 설립(1924)
- 문맹퇴치운동
· 조선일보 중심으로 문자보급운동 전개 > 한글 보급, 한글 교재 발행, 순회 강연 실시
2) 농민 노동운동 > 1930년대에 반제국주의 항일운동으로 발전함
- 소작쟁의 : 소작권 이전 반대, 고율의 소작료 인하 요구(암태도 소작쟁의)
- 노동쟁의 : 노동조건 개선, 임금 인상 주장(원산 총파업)
3) 신간회 (1927년)
-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 + 사회주의 세력
- 일제강점기 최대 규모의 민족운동 단체 (약 4만명)
· 정치, 경제적 각성, 민족의 공고한 단결, 기회주의 배격
· 각종 사회단체 지원, 광주학생항일운동에 진상조사단 파견
· 일제의 탄압, 내부 갈등 > 코민테른의 지시를 받은 사회주의 계열의 이탈로 해소(1931)
- 결성 배경
· 국외 : 중국 국·공 합작 영향 > 한국 독립 유일당 북경 촉성회 창립, 3부 통합 운동
· 국내 : 치안유지법 제정 > 사회주의자 활동 위축 / 자치론 대두 > 민족주의 분열(타협적-비타협적)
민족 유일당 운동 > 조선 민흥회 발기, 정우회 선언
4) 대중운동
- 학생운동
· 6·10 만세운동 (1926년) : 순종 인산일에 전개, 민족주의계와 사회주의계 연대 모색의 계기
· 광주학생항일운동 (1929년) : 한·일 학생 간의 충돌 > 광주지역 학생들의 대규모 시위 > 신간회의 지원 > 전국적으로 학대(3·1운동 이후, 최대 규모의 항일 민족 운동)
- 소년운동
· 어린이를 하나의 인격체로 대우하자
· 방정환이 중심이 된 천도교 소년회 주도 > 어린이날 제정, 잡지 어린이 발간
- 여성운동
· 근우회 (1927년) : 신간회의 자매단체로,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 통합 단체, 여성의 단결과 지위 향상 도모
- 형평운동
· 조선 형평사 (1923년) : 백정들의 사회적 차별과 멸시 철폐 운동(진주
5) 민족문화수호운동
- 조선어연구회 : 최초의 민간학술단체로 주시경의 제자들 / 한글 보급 노력, 가갸날 제정, 잡지 한글 발행, 카프문학
- 신채호 : 조선상고사, 조선사연구초, 낭가사상
- 박은식 : 한국통사(식민지로 넘어가기 전, 개항기 역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국혼 강조
-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 제작 : 나라를 잃은 민족의 애환
6) 의열단 (1919년)
- 김원봉이 만주 지린에서 조직 : 일제요인 암살, 식민통치기관 파괴 등 무력투쟁 전개
-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삼음
- 김익상(총독부 폭탄), 김상옥(종로경찰서 폭탄), 나석주(동양척식주식회사와 식산은행 폭탄)
- 1920년대 후반, 조직적 무장 투쟁으로 전환
- 황푸 군관학교에서 군사훈련 실시 > 조선간부학교 설립 후 군사훈련 실시
- 민족 혁명당 결성에 앞장 섬
7) 1920년대 국외 무장 독립 전쟁
- 봉오동 전투 (1920년 6월) : 대한 독립군(홍범도)을 비롯한 연합부대가 일본군을 크게 격파
- 청산리 전투 (1920년 10월) : 일본군의 훈춘사건 조작 > 만주에 대규모 일본군 파견 > 북로 군정서(김좌진)과 독립군 연합부대가 백운평, 어랑촌 등지에서 일본군 크게 격파
- 독립군의 시련
· 간도참변 (1920) : 봉오동, 청산리 전투에서 패배한 일본군이 간도 마을 습격 및 학살
· 독립군 부대 밀산 이동 : 대한 독립군단 조직(서일 총재) > 러시아령 자유시로 이동
· 자유시 참변 (1921) : 러시아 혁명군이 무장 해제 요구를 거부한 독립군 공격
- 독립군 재정비
· 3부 결성 : 독립군의 만주 귀환, 독립운동 단체 통합 >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결성
· 3부 통합 운동 : 미쓰야 협정 > 독립군 활동 위축 > 국민부, 혁신의회로 재편
* 마쓰야 협정 : 만주에서 독립군 활동이 활발해지자, 일본이 만주지역 군벌과 맺은 협정
5. 1930년 대 민족말살통치
- 일본의 대공황으로 경제위기 > 일본의 군국주의 가속화
- 일본의 침략전쟁 확대 :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전쟁
1) 민족말살정책
- 조선인을 일본인으로 동화시켜, 침략전쟁에 동원하고자 함
- 내선일체 : 일본과 조선은 한 몸이다. / 일선동조론 : 일본과 조선의 뿌리가 같다.
2) 황국 신민화 정책
- 황국신민서사 암송 강요, 신사참배 강요, 창씨개명 강요
3) 3·4차 조선 교육령
- 소학교 > 초등학교 (1941)
- 우리말 사용 금지
4) 언론통제 : 조선일보, 동아일보 폐간 (1940)
5) 사상범 보호 관찰령 : 일제에 반대하는 사상 감시, 탄압
6) 농촌진흥운동, 조선 농지령 (1934) : 한국 내의 소작문제 해결 목적, 자력갱생 등 정신운동 추진
7) 인력 강제 동원 : 지원병제, 학도지원병제, 징병제
- 국민징용령 : 광산, 군수공장, 전쟁시설 강제동원
- 여자 정신 근로령 : 군수공장에 성위안부 강요
8) 국가총동원법 제정 (1938) : 중일전쟁을 일으킨 일본이 본격적인 수탈을 목적으로 제정함
- 식민지 공업화 : 전쟁물자 확보, 병참기지화 정책
- 남면북양 : 일본 방직업에 필요한 원료 생산 (남쪽-면, 북쪽-양)
- 물자수탈 : 식량 배급제, 공출, 지하자원 약탈
6. 1930년대 조선의 저항
1) 김구의 한인애국단 : 상하이에서 조직된 항일독립운동단체로, 일본인 암살 목적
· 이봉창(1932) : 도쿄, 일왕에게 폭탄 투척 > 실패
· 윤봉길(1932) : 상하이 훙커우공원에서 일본군 전승 기념식장에서 도시락 폭탁 투척
· 윤봉길 사건 이후, 중국 국민당의 임시정부의 독립운동 적극지원
2) 한중 연합작전
- 배경 : 일제의 만주사변, 만주국 수립 > 중국 내 반일감정 고조 > 항일연합전선 형성
- 한국 독립군
· 북만주, 한국 독립당의 군사조직
· 총사령 지청천, 중국 호로군과 연합 : 쌍성보전투, 사도하자 전투, 대전자령 전투 승리
- 조선 혁명군
· 남만주, 조선 혁명당의 군사조직
· 총사령 양세봉, 중국 의용군과 연합 : 영릉가전투, 홍경성전투 승리
3) 중국 관내 민족 운동
- 민족 혁명당 (1935년)
· 김원봉, 조소앙, 지청천 등의 독립운동 세력이 통합하여 결성
· 김원봉 주도 > 조소앙, 지청천 이탈 > 세력 약화 > 조선민족혁명당으로 개편
- 조선민족 전선 연맹 (1937년)
· 일본의 중일전쟁 도발 > 조선민족혁명당 중심으로 약화된 통일전선을 강화하기 위해, 사회주의 계열 단체들이 연합해서 결성함
- 조선의용대 (1938년)
· 조선민족 전선 연맹의 군사 조직
· 중국 관애에서 결성된 최초의 한인 무장 부대
·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아 김원봉이 창설 > 정보수집, 선전, 후방교란 등 임무수행
· 항일투쟁을 위해 화북지역으로 이동 > 호가장전투, 반소탕전 > 조선의용군으로 재편
· 김원봉 등 잔류세력은 임시정부 한국광복군에 합류 (1942년)
4) 민족 문화 수호 운동
- 조선어학회
· 조선어연구회 계승하여 최현배와 이윤재가 조직
· 한글강습회, 한글맞춤법통일안, 우리말 큰사전 편찬 추진했으나 완성은 못함
·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강제해산 (1942년)
- 정인보 : 신채호와 박은식의 민족주의 사학(얼)을 계승함, 주체성을 유지하려는 조선학운동 전개
- 진단학회 : 객관적 사실에 근거하는 실증주의사학, 이병도와 손진태가 창립, 진단학보 발간
- 사회경제사학 : 유물 사관을 바탕으로 세계사의 보편성 위에 한국사를 체계화 > 정체성론 비판, 백남운의 조선사회경제사, 조선봉건사회경제사 저술
5)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정비
- 임시정부 이동
· 윤봉길 의거 후, 일제의 탄압 심화 > 상하이-난징-한커우-창사 등으로 옮김
· 한국 광복 운동 단체 연합회 결성(1937)
- 한국독립당 결성(1940)
· 한국 광복 운동 단체 연합회에 참가한 한국 국민당(김구), 한국 독립당(조소앙), 조선 혁명당(지청천) 등 민족주의 계열 단체의 통합으로 결성
·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주도함 > 임시정부 충칭에 정착
- 정부형태 변화
· 주석 중심의 단일 지도 체제 마련(1940) : 김구를 주석으로 선출
· 부주석제 신설(1944) : 주석 김구, 부주석 김규식 선출
- 한국 광복군 창설(1940)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규군, 총사령 지청천
· 대일선전포고 : 인도, 미얀마 전선에서 영국군고 연합작전
· 김원봉을 중심으로 한 조선의용대 일부세력 합류 > 군사력 강화
· 미국의 전략 정보국과 협력하여 국내진공작전 계획 > 실현 X
- 삼균주의 건국강령 발표(1941) : 민주공화정 수립, 보통선거 실시 등
6) 건국준비활동
- 조선건국동맹(1941)
· 국내에서 여운형의 주도로 사회주의자와 민족주의자를 망라하여 결성
· 민주공화국 수립 지향
· 광복 후, 조선 건국 준비위원회로 개편
- 조선독립동맹(1942)
· 중국 화북 지역에서, 김두봉을 중심으로 사회주의계 인사들이 결성함
· 군사 조직으로 조선의용군 편성
· 민주공화국 수립, 대기업 국유화 등의 내용을 담은 건국강령 발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