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을 받으며 술래가 되는 '세 번 돌고 절하기 놀이'를 해 봅시다.
놀이방법
1.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정합니다.
2. 나머지 사람들은 술래의 주위에 손을 잡고 둘러섭니다.
3. 손을 잡고 빙빙 돌면서 술래에게 묻습니다. "여보 여보. 당신은 누구십니까?"
4. 가운데 선 술래는 다음과 같이 답합니다. "나는 소녀(소년) 봉사(장님)입니다."
5. 주위 사람들은 계속 돌면서 또 묻습니다. "뭣 때문에 여기까지 오셨습니까?"
6. 술래가 답합니다. "여러분과 놀고 싶어서 왔어요."
7. 그러면 주위 사람들이 술래에게 요구합니다. "그러면 세 번 돌고 절을 하세요".
8. 술래는 눈을 감은 채 그 자리에서 돌면서 세 바퀴를 돕니다.
9. 세 바퀴 도는 것과 동시에 주위 사람들도 모두 그 자리에 섭니다.
10. 술래는 선 자리에서 정면을 향하여 절을 합니다.
11. 절을 받은 사람이 술래가 되고 다시 놀이를 위와 같이 합니다.
알아 두세요
옛날에는 절하는 것이 생활화되어 있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문안 드릴때도 절을 하고 혹시 먼 길을 갈 때와 갔다 와서도 절을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손위 어른이 오셔도 인사만 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절을 했습니다. 아이들은 주로 절을 받기보다 여기저기 절을 해야 하는 입장에 있습니다. 따러서 이런 놀이를 통해서 어른처럼 정을 받아 보고 대신 절 받은 값으로 술래가 되는 겁니다. 이 놀이는 하나의 명확한 줄거리 가지고 있습니다. 봉사가 여러 사람과 놀려고 왔는데 함께 놀려면 절을 해야 합니다. 절을 받고 놀이에 끼워 주는 것이지요. 이와 같이 놀이가 아이들의 머릿속에 기억되어 되풀이되기 위해서는 줄거리가 있는 것이 좋습니다. 옛날 놀이에는 이런 줄거리가 있는 놀이들이 참 많았습니다. 그런데 오늘날 놀이에서는 이런 부분이 거의 사라져 놀이가 전승되지 못하는 데 한 이유가 됩니다. 따라서 우리 놀이의 전승을 위해서도 이런 놀이를 많이 지도해야 할 것입니다. 술래와 아이들이 주고받는 이야기도 재미있습니다. 누구인지 묻고 그 물음에 답하고, 뭣 때문에 왔냐고 묻고 답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놀이를 지도할 때 이런 대화를 여러 가지로 바꾸어서 지도하면 더욱 좋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당신은 누구냐고 물을 때 자기 이름을 댄다든지, 어디에서 왔냐고 물어 보면 자기가 사는 동네 이름이나 집에서 왔다는 답한다든지 등의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그냥 서서 도는 경우도 있지만 코끼리 코를 한 상태에서 세 바퀴 돌면 더욱 어지럽고 중심을 잡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뒤뚱거리게 되는데 이 모습을 지켜보는 아이들은 더욱 재미있어합니다. 운동장에서 할 수도 있지만 절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하는 것이 더 좋을 듯합니다.
댓글